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 연은, “학자금 대출자들 신용등급 하락 우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학자금 대출 상환유예 조치가 종료됨에 따라 연방 학자금 대출자들의 신용등급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뉴욕 연방준비은행 경제학자들의 경고가 나왔다.     뉴욕 연준은 26일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올해 1분기 900만 명 넘는 학자금 대출자들의 신용등급이 크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팬데믹 발생 이후 2020년 3월부터 2023년 9월까지 학자금 대출 상환유예 조치를 시행했다. 교육부는 일반적으로 대출자가 대출금 상환을 90일 이상 연체하면 신용조사 기관에 연체자로 보고하지만,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학자금 대출 상환이 재개된 2023년 10월 이후 첫 12개월(2023년 10월~2024년 9월) 동안 이러한 관행을 중단했다.     지난해 10월 이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이때부터 대출금 상환을 연체한 이들은 신용조사 기관에 연체자로 보고되기 시작했다.     뉴욕 연은 경제학자들은 “학자금 대출 미상환이 연체로 보고되기까지 최소 90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난해 10월 이후 3개월이 지난 올해 1분기부터 연체 사실이 대출자들의 신용 점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했다.   연은 경제학자들이 공식 통계에 반영되지 않은 ‘그림자 연체율’을 추정한 결과, 지난해 4분기 학자금 대출 연체율은 15.6%로 팬데믹 이전인 2018년 2분기의 14.8%를 넘어설 것으로 분석됐다. 또 작년 4분기 970만 명의 대출자가 2500억 달러 부채를 보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교육부는 26일부터 연방 학자금 대출자들을 위한 소득기반상환프로그램(IDR) 신청을 재개했다.     앞서 지난달 26일 연방학생지원국(FSA) 웹사이트에는 “연방법원이 ‘SAVE(Saving on a Valuable Education) 플랜’ 등 일부 IDR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못하도록 금지 명령을 내림에 따라 IDR 및 대출 통합 신청이 불가능한 상태”라는 배너가 떴다. 연방항소법원이 조 바이든 전 행정부의 연방 학자금 대출탕감 프로그램을 무산시키는 판결을 내린 이후 일부 학자금 대출 상환 계획이 동결됐으나, 한 달 만에 FSA 포털이 다시 열리는 것이다.     교육부는 “연방법원의 판결에 따라 IDR 프로그램 신청서를 대폭 수정하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며 “이제 학생들은 SAVE 플랜을 제외한 ▶소득기준상환(IBR·Income Based Repayment) ▶‘페이 애즈 유 언(PAYE·Pay AsYou Earn)’ 등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신용등급 학자금 학자금 대출탕감 학자금 대출자들 뉴욕 연방준비은행

2025-03-27

뉴욕 일원 남녀 고용률 차이 줄었다

남녀 고용 격차가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 낮아졌다. 전국적으로 격차가 줄어든 가운데 뉴욕·뉴저지 북부·커네티컷 남서부 등에서 눈에 띄게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활성화된 영향이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최근 발표한 ‘공정 성장 지표’에 따르면 지난 10월 전국 남녀 고용률 차이는 약 11%로 집계됐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초의 13%보다 낮아졌다. 같은 기간 소득 격차 역시 줄긴 했지만, 여전히 여성이 남성보다 18% 적게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연은 관할 지역인 뉴욕·뉴저지 북부·커네티컷 남서부의 고용 격차는 약 9%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팬데믹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소득 격차는 15~20% 범위에 머물러 팬데믹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 등 원격근무가 활성화된 영향이다.   뉴욕연은은 “여성, 특히 교육 수준이 높은 여성은 이전에 비해 재택근무를 활용한 노동 참여가 증가했고 이에 소득 또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테크·금융 등 많은 업계가 직원들의 오피스 복귀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이들이 재택근무를 종료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최근 감소한 고용격차가 다시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크레인스뉴욕은 “뉴욕 일원엔 집에서 일할 수 있는 ‘화이트칼라’ 여성이 많아 고용 격차가 더 빠르게 감소할 수 있었다”며 “최근 월스트리트의 많은 기업이 직원들의 복귀를 요구하는 상황이라 고용 격차가 후퇴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경찰 등 공공 부문에선 여전히 여성 채용이 부진하다는 지적도 있다. 뉴저지주 경찰이 작년 고용한 여성 경찰관은 총 174명으로 전체 5.6%에 불과하다. 가장 최근 통계인 2018년 기준 전국 여성 경찰관 채용률은 전체 6.9%인데, 이를 밑도는 것이다.   이를 두고 성차별이라는 소송이 제기돼 현재 법무부에서 조사 중이다.   뉴욕타임스(NYT)는 “경찰들은 관련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조차 금지된다”며 “소송을 제기한 경찰들은 최근 은퇴했기 때문에 문제를 지적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하은 기자 [email protected]고용률 일원 뉴욕 일원엔 여성 경찰관 뉴욕 연방준비은행

2023-12-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